주식차트분석

신한지주 신한은행, 신한카드 연말 배당 5% 안전수익

추세파동분석 2023. 11. 30. 01:29
반응형

신한지주 주가

주식차트분석 차트에 답이 다 있습니다.

 

8월22일 포스팅 필옵틱스

9월14일 고가 13240원

한달 40% 수익

 

필옵틱스 이차전지 관련 자회사 필에너지 상장 후 개인투자자의 눈물 - 주식차트분석

필옵틱스 자회사인 필에너지의 상장 후 필옵틱스 주가가 연일 곤두박질 치고있는 상황입니다

lifecare119.com

 

 

신한지주 정보

신한지주

  • 동사는 신한금융 계열사에 대한 지배/경영관리, 종속회사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2001년 설립된 금융지주회사임.
  • 종속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은행업, 신용카드업, 금융투자업, 생명보험업, 자산운용업, 여신전문업, 저축은행업 등이 있음.
  • 신한은행 외에도 전반적으로 우수한 자회사 사업 지위를 토대로 한 균형 있는 사업포트폴리오 기반의 안정적인 이익창출력 유지 중임. 21년 1월 신한자산운용을 완전자회사로 편입함.
 

네이버페이 증권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신한지주 재무

연간재무

2022/06 2022/09 2022/12 2023/03 2023/06

순이자이익 (억 원) 31,070.9 32,008.3 32,466.3 25,738.4 26,941.8
순수수료이익 (억 원) 6,950.8 5,830.4 5,036.0 6,034.3 6,493.0
금융상품관련이익 (억 원) 3,235.2 863.1 -605.5 6,984.2 5,995.8
외환거래(환율변동)이익 (억 원) -695.2 713.4 817.2 2,010.6 251.2
금융자산관련이익 (억 원) -6,063.2 -5,041.6 -9,156.6 -4,944.1 -3,324.7
기타영업이익 (억 원) -3,086.2 -3,460.5 -4,169.5 -4,702.3 -4,567.4
순영업이익 (억 원) 31,412.3 30,913.1 24,387.8 31,121.1 31,789.7
판매비와관리비 (억 원) 13,920.3 14,084.1 18,887.5 13,559.3 14,429.2
영업이익 (억 원) 17,492.0 16,829.0 5,500.3 17,561.9 17,360.5

 

분기재무

2022/06 2022/09 2022/12 2023/03 2023/06

순이자이익 (억 원) 31,070.9 32,008.3 32,466.3 25,738.4 26,941.8
순수수료이익 (억 원) 6,950.8 5,830.4 5,036.0 6,034.3 6,493.0
금융상품관련이익 (억 원) 3,235.2 863.1 -605.5 6,984.2 5,995.8
외환거래(환율변동)이익 (억 원) -695.2 713.4 817.2 2,010.6 251.2
금융자산관련이익 (억 원) -6,063.2 -5,041.6 -9,156.6 -4,944.1 -3,324.7
기타영업이익 (억 원) -3,086.2 -3,460.5 -4,169.5 -4,702.3 -4,567.4
순영업이익 (억 원) 31,412.3 30,913.1 24,387.8 31,121.1 31,789.7
*(회사기재상)순영업이익 (억 원) - - - - -
판매비와관리비 (억 원) 13,920.3 14,084.1 18,887.5 13,559.3 14,429.2
영업이익 (억 원) 17,492.0 16,829.0 5,500.3 17,561.9 17,360.5

 

신한지주 월봉차트 차트분석

신한지주 월봉차트

신한지주 월봉차트에서 M자리 지지를 받고 상승하는 그림 입니다.

M자리는 아래에서 두번째 빨간원 자리이며, 지난 큰 자리에서도

지지를 받았던 자리 입니다.

 

파동으로 월봉상 바닥권에 있으며 하단에 파고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최근 7년정도를 보아 다른 종목같이 깊은 침체가 있는 종목은 아닙니다.

금융 관련 종목이다보니 파동은 잘 만들어 지는것을 보게 됩니다.

 

11월 거래량이 지난 9월, 10월 거래량보다 증가하였고, 추세는 상승 이라 봅니다.

 

완전 바닥을 23500원으로 가정했을 경우, 현재 36000원 주가가 30% 빠져야 합니다.

30% 폭락이 나올 때 주가로 가능성이 희박합니다.

 

배당주의 경우 주기별로 배당락에 영향이 있는데, 큰 폭의 변동은 없습니다.

가장 좋은 자리는 32000~33000원 부근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봉차트 차트분석

신한지주 주봉차트

현재 추세선에 딱걸린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추세로 저항선에 걸리고 하락이 나오면 33700원

더 내려오면 32500원 입니다.

 

여기서부터 주식을 모아간다 생각하고 아래쪽으로는 계속 사면 됩니다.

 

하락추세선을 그엇을때 27500원 부근이 추세지지 입니다.

추세지지까지는 너무 많은 주가가 빠져야해서 32500원을

중심으로 보고 매수에 들어가서 전략적으로 분할매수 하시면 됩니다.

 

배당 5%를 주는 만큼 메리트도 좋은 종목이고 안정적입니다.

 

추세는 매도세가 조금 있지만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이고,

파동은 아직 상승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파동이 계속 상승으로 갔을 경우

주가는 38000원을 터치하고, 뚫었을 때 41000원까지 갑니다.

 

무거운 주식인 만큼 쉽게 큰 움직임이 나올것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안정적인 종목이므로 분산투자에 필요합니다.

 

일봉차트 차트분석

신한지주 일봉차트

신한지주 일봉차트에서 박스를 그리면 32400원 ㅡ 38000원을 박스로 볼 수 있습니다.

박스 안에 있는 캔들의 움직임은 상승추세에 있으며, 

일봉차트상 34000원부터 단기적으로 매수를 들어가고,

2차, 3차 분할로 매수 할 수 있습니다.

 

일봉차트는 말 그대로 단기적으로 볼 수 있는 차트라 생각합니다.

단기라고해서 1~3일은 아닙니다.

완전 단기를 하기 위해선 분봉을 보고 다른 보조지표 및 캔들의 흐름을

더 깊게 관찰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그렇게까지 하기에는 초보 투자자분들은 어려운 부분이 많을것이고,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게 될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제가 작성하는 글에는 안전한 자리, 투기가 아닌 투자

그리고 차트를 볼 수 있는 눈을 기르기 위한 글 입니다.

저점과 고점, 지지와 저항, 추세, 파동 4가지 정도만 알아도

본인의 계좌는 지킬수 있을 것입니다.

 

명심하세요. 주식은 투기,도박이 아닌 투자로만 해야 한다는 점.

 

투자와 투기,도박의 차이를 제 입장에서 딱 한가지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주체가 '나'가 아닌 '남'이 주체가 된다면 모든건 도박, 투기 입니다.

 

속된말로 알지도 못하면서 왜 사며, 어디까지 오르길 기다리나요?

천천히 배워가세요. 충분히 할 수있습니다.

 

 

신한지주 매매전략

매수전략

차수매수 가격 (원)

1차 33200원(15%)
2차 32400원(15%)
3차 30000원(25%)
4차 27000~28000원(분할매수)

단기매도전략

차수매도 가격 (원)

1차 37200원
2차 38200원
3차 39500원
4차 보유(10%)

스윙매도전략

차수매도 가격 (원)

1차 38200원
2차 41000원
3차 45000원
4차 보유(10%)

 

 

 

 

 

현대모비스 분석글 보러가기 VVVVVVVVVVVVV

 

현대모비스 자동차 부품 관련 대장주 주가는 10년째 박스권

현대모비스 주가가 10년째 박스권 입니다. 박스권 매매 하는 전략표 궁금하신분들 괜히 고점에서 물리지말고 들어와서 매매전략 보세요..

lifecare119.com

 

SK하이닉스 분석글 보러가기VVVVVVVVVVVVV

 

SK하이닉스 주가, 이거 안보면 또 고점에서 물리고 -50% 됩니다.

SK하이닉스 주가 주식차트분석 차트에 답이 다 있습니다. 11월28일 장중에 포스팅을 하게 됐습니다. 현재일 기준 레인보우로보틱스 14% 상승 9월20일 포스팅 1차 매수 가능가에 걸리지 않았지만 차

stocktrend1.tistory.com

 

1일 1경제금융용어 알아보기

가계처분가능소득

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가계가 마음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흔히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GNI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국민총소득에는 가계 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벌어 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부문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전체 경기와 괴리가 있게 된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은

가계부문의 총처분가능소득을 연앙인구로 나누어 계산한 지표로

가계의 구매력을 가장 정확히 가늠해 볼 수 있는 소득지표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