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차트분석

현대건설 주가 -55% 전망은? 추세 전환 됐나? 바닥에서 매수하자

추세파동분석 2023. 12. 6. 23:05
반응형

현대건설 주가

주식차트분석 차트에 답이 다 있습니다.

 

12월6일 대상홀딩스 상한가

 

대상홀딩스 회사는 '상승세' 주가는 '하락세' 방향은?

대상홀딩스 주가가 연일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상승세인데 주가는 하락세 '이것' 알면 방향을 알수있습니다

lifecare119.com

9월 7일 시장가 매수 ㅡ 8000원대

2차 매수가가 최저점

현재 13000원 돌파

딱 3개월만에 수익율 80%

 

현대건설 정보

현대건설

 

  • 1950년 토목과 건축공사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22년 시공능력평가 2위의 종합건설회사임.
  • 주요사업 부문은 터널, 교량, 도로공사, 택지조성, 철구조물 제작 및 설치 등의 토목 부문과 공공건축물 및 초고층빌딩, 아파트 등을 건설하는 건축/주택 부문,
  • 석유화학/담수/신산업 플랜트, 송변전 전기공사, 원자력/태양광/풍력발전 등을 담당하는 플랜트 부문, 부동산개발, 축산업, 휴양콘도운영 등의 기타 부문으로 나뉨.
 

네이버페이 증권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현대건설 재무

연간재무

2018/12 2019/12 2020/12 2021/12 2022/12

매출액(수익) (억원) 167,308.9 172,787.9 169,708.6 180,655.3 212,390.8 17.6 -
* 내수 (억원) 103,688.6 - - 125,560.6 - - -
* 수출 (억원) 73,089.2 - - 86,830.3 - - -
매출원가 (억원) 150,697.5 155,528.9 155,740.0 162,683.0 197,263.3 21.3 -
매출총이익 (억원) 16,611.5 17,259.1 13,968.6 17,972.4 15,127.5 -15.8 -
판매비와관리비 (억원) 8,211.6 8,662.4 8,478.9 10,437.3 9,378.5 -10.1 -
영업이익 (억원) 8,399.9 8,596.7 5,489.7 7,535.0 5,749.0 -23.7 -

 

 

분기재무

2022/09 2022/12 2023/03 2023/06 2023/09

매출액(수익) (억원) 54,308.4 60,834.9 60,310.8 71,633.6 78,585.3 9.7 -
* 내수 (억원) 31,905.6 - - - - - -
* 수출 (억원) 23,473.8 - - - - - -
매출원가 (억원) 50,975.6 57,169.5 56,511.6 67,657.8 73,424.1 8.5 -
매출총이익 (억원) 3,332.8 3,665.4 3,799.2 3,975.8 5,161.2 29.8 -
판매비와관리비 (억원) 1,795.8 2,922.3 2,064.1 1,740.3 2,722.5 56.4 -
영업이익 (억원) 1,537.1 743.1 1,735.1 2,235.5 2,438.7 9.1 -

 

현대건설 월봉차트 차트분석

 

현대건설

현대건설 월봉차트 입니다.

아쉬운 말씀부터 드리겠습니다.

맥점은 놓쳤습니다.

바닥을 지지받는 자리에서 딱 들어갔어야 하는데

10% 상승 한 후 포스팅 하게 됐습니다.

 

오늘 종가 기준 36700원에서 아직 상승분은 많습니다.

바닥 지지자리에서 들어갔으면 10% 가뿐히 먹는건데

아쉽네요.

 

월봉차트에서도 약간 박스형태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중심선과 120일 60일선 다 위에 있고, 지금은 강력지지에

지지를 받고 상승하는 그림 입니다.

 

파동도 하방에서 장기적으로 위치해 있습니다. 

 

건설 경기가 안좋아서 주가가 떨어진다?

건설 경기가 좋으면 주가가 상승할까요?

 

재무나 경기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경우도 있지만

지금 전체적으로 건설주에 관심이 없습니다.

이때는 미리 조금씩 모아두는게 최선입니다.

당장의 상승을 바라지말고, 바닥에 왔을때 모으는 겁니다.

 

현대건설 월봉차트에서 가깝게는 42000원까지 갑니다.

현재 주가에서 15%이상 상승은 꼭 올라 갑니다.

 

주봉차트 차트분석

현대건설 주봉차트

현대건설 주봉차트 입니다. 노란색 박스 보이시나요?

보시는바와 같이 박스 입니다.

33000원을 지지받고, 37800원에 저항을 받습니다.

 

추세적으로 봤을때 더이상 하락하는 추세는 없다고 봅니다.

21년 최고점 찍고 하락으로 내려왔고 23년 1월 저점으로

바닥을 다지면서 상승 할 준비를 하는 그림으로 보입니다.

 

저점을 낮추지 않고, 박스를 그리고 있습니다.

박스가 길어지면 박스의 길이만큼 상승이나 하락이

나오는데 지금 주가 구간에서 하락으로 떨어지기엔

주가가 너무 저평가 된 상황이라 확률로 봤을때도

상승에 가깝게 보입니다.

 

하락세가 지속될 때 저점을 높이는게 아닌 저점을 계속

낮추면서 고점도 낮아집니다.

하지만 저점을 지지받고, 고점을 계속 뚫을 시도를 하는게

파동을 주면서 추세를 전환하는 모습 입니다.

 

모든게 결과론적이지만 전략을 잘 세워서 매매를하면

큰 수익을 못얻을 수 있지만 절대 손실은 안봅니다.

 

일봉차트 차트분석

현대건설

12월 6일 기준 현대건설 주가가 3.82% 상승으로 

장대양봉이 나왔습니다. 아래꼬리와 윗꼬리가 서로 짧습니다.

 

캔들로는 매수세가 강하게 나와있고 전봉이 돗지는 아니지만

매수세와 매도세가 싸우는 모습인 돗지 형태가 나왔습니다.

 

저점을 깨지않고 돗지형태의 캔들이 나오고

다음날 바로 장대양봉이 나왔을때 상승의 추세로 봅니다.

 

11월 상승 후 눌림자리인 36800원 라인을 뚫고 올라가면

박스 상단까지 금방 닿을거라 판단 됩니다.

 

파동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오는 모습이지만

방향은 언제든 바뀔 수 있고 일봉상 눌림으로 파동이 하단으로

내려와도 주봉과 월봉이 하단에 있으므로 주가의 하락이

지속되지 않을거라 보입니다.

 

대형주의 경우 시장에 큰 이슈가 없이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호재 입니다.

안정적인 대형주의 주가 하락이 기회가 되고

정말 짧게는 3~5%, 길게는 10~15%정도 쉽게 수익이 납니다.

 

따라서 현재 구간에서 분할 매수로 대응하시면 박스 상단을

돌파 했을때 40000원대까지 안착 할 수 있습니다.

 

수익률 20% 상승 구간은 충분히 열려있습니다.

 

현대건설 매매전략

매수전략

차수매수 가격 (원)

1차 12월7일 아래꼬리
2차 33300원
3차 29000원
  모으면 됩니다.

단기매도전략

차수매도 가격 (원)

1차 40500원
2차 43500원
3차 48000원
4차 보유(10%)

스윙매도전략

차수매도 가격 (원)

1차 43500원
2차 49000원
3차 61000원
4차 보유(10%)

 

SK이노베이션 분석글 보러가기

 

SK이노베이션, 6% 급락? 상승 신호 일까? 매매전략

SK이노베이션 주가 주식차트분석 차트에 답이 다 있습니다. 10월1일 포스팅 ㅡ 카카오 1차, 2차 매수까지 진입 ㅡ 평단 42500원 11월29일 기준 51300원 카카오 주가 끝모를 하락세 하락의 끝과 상승의

stocktrend1.tistory.com

 

현대모비스 분석글 보러가기

 

현대모비스 자동차 부품 관련 대장주 주가는 10년째 박스권

현대모비스 주가가 10년째 박스권 입니다. 박스권 매매 하는 전략표 궁금하신분들 괜히 고점에서 물리지말고 들어와서 매매전략 보세요..

lifecare119.com

 

1일 1경제금융용어 알아보기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

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게 보통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 해외에서 기채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기준금리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는 보통 베이시스

포인트(bp, basis point)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0.5%의 금리격차를 50bp로

표기하고 1%는 100bp로 표시된다.

 

반응형